본문 바로가기

AM5 agesa 1.2.0.3a (1.2.0.2b와 비교 벤치마크)

안녕하세요 :) 2025. 2. 13.

썸네일

AM5 agesa 1.2.0.3a 벤치마크

일단 벤치마크를 위해 1.2.0.2b 정식 버전에서의 프레임을 벤치마크해보았습니다.

 

제대로 된 벤치나 비교를 확실하게 한게 없어 너무 궁금해서 직접 해보았고 램오버만 하고 전부 순정상태입니다.

 

공통인 램오버 값으로 안정적이고 스윗스팟 역시 필요없는 구간입니다.

 

램 오버 값은 y-cruncher로 안정화를 간단하게 본 값입니다.

 

시스템에 따라 안정화가 되지 않을 수 있고 개인적으로 tm5보다 y-cruncher가 오류 검출이 더 잘된다고 생각해 사용했습니다.

 

y-cruncher가 안잡히는 오류 등을 잘 잡아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공통 램오버 값입니다.


클럭 및 전압 등에 대한 표

램오버 세팅 (클럭 및 전압) 설정값 Descripition
System Memory Multiplier 6000 Mhz 램 클럭 조정
Infinity Fabric Frequency 2000 Mhz  
UCLK DIV1 MODE UCLK=MEMCLK 1:1 세팅
VCORE_SOC 1.300 V SOC 전압 (1.3이 최대 및 제한선)
CPU_VDDIO_MEM 1.200 V 1.1 ~ 1.2 권장
DDR_VDD Voltage 1.350 V  
DDR_VDDQ Voltage 1.350 V  

Standard Timing Control (1차 램타이밍)

램오버 세팅 (램타이밍) 설정값 Description
CAS Latency 28 CL 값
tRCD 38 -
tRP 38 -
tRAS 32 -

Advanced Timing Control (세부 램타이밍)

램오버 세팅 (세부 램타이밍) 설정값 Description
tRC 60  
tWR 48  
tREF 65535 너무 조이면(올리면) 성능오르는 것에 비해 발열이 높아집니다.
tRFC1 410  
tRFC2 302  
tRFCSb 187  
tRTP 12  
tRRD_L 8  
tRRD_S 4  
tFAW 20  
tWTRL 16  
tWTRS 5  
tRDRD_SCL 6  
tRDRDSC 1  
tRDRDSD 1  
tRDRDDD 1  
tWRWR_SCL 6  
tWRWRSC 1  
tWRWRSD 1  
tWRWRDD 1  
tWRRD 4  
tRDWR 16  

그 외의 값 전부 Auto

 

다만 1.2.0.3a에서는 램오버가 더 잘들어가기 때문에 아무래도 여기서 벤치한 값을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기본 같은 상태일때의 성능 차이를 보여드리고자 남깁니다.

 

Tool은 에프터 버너 사용했고 베타지만 23년 4월이 마지막인 정식 버전보다 베타지만 25년 버전이 나을 것이라 판단해서 25년 버전으로 받았습니다.

 

현재 고쳐진지는 모르겠지만 예전 버전이 0.1% 프레임 버그가 있었던 터라 해당 버전 사용했습니다.

 

9800x3d에 4080 사용했으며 cs2에서는 에프터버너를 사용하기 위해서 시작옵션에 -allow_third_party_software가 필요합니다. (보드 x870 aorus master - pcb 8 layers board)

 

nvidia 설정은 이렇게 고정해놓았으며 모든 인게임 세팅은 기본입니다.

 

1%와 0.1%의 경우 오류로 이상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어느정도 감안해주시고 이상해지는 경우엔 제대로 나올때 측정했습니다.

 

그 중에 0.1%가 특히 심합니다.

 

1%가 그나마 오차가 덜한 수준입니다.

 

0.1%의 경우에는 너무 왔다갔다해서 측정 타이밍을 잘 잡아야 했습니다.

실제 사용 시

설정
nvidia 그래픽 제어판 설정(실사용)

측정은 이렇게 했지만 실제 게이밍 하실 때에는 이 세팅이 아닌 이 세팅을 사용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프레임 자유입니다만 전원 관리 모드의 경우 일반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저지연 모드는 자유입니다만 저는 켜기를 씁니다.

 

자세한 내용은 설명을 봐주세요.

설명

1. 프레임의 경우에는 내 모니터 주사율에 따라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자유라고 했습니다.

 

2. 전원 관리 모드는 무조건 일반 권장

 

3. 저지연 모드는 끄기 OR 켜기 (인게임 Reflex 사용 시에는 끄기 하고 그 설정 사용해도 되지만 인게임 Reflex를 끄고 여기서 켜기를 사용해도 됩니다.)

 

4. 3번의 이유는 저지연 모드를 대체해서 인게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Reflex 설정이 오히려 버그로 프레임 감소 등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인게임 Reflex를 끄고 nvidia에서 켜기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이 설정 역시 자유입니다.)

 

5. 저지연 모드 울트라의 경우에는 그래픽 카드 점유율이 100프로일때가 많은 경우에나 사용하고 울트라가 반응속도 면에서도 오히려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선택입니다.

벤치 할 때 설정 값

설정
nvidia 그래픽 제어판 설정(벤치용)

설정할 때는 확인한 바가 없어서 최고 성능 선호를 사용했는데 다음부터는 일반으로 사용할 것입니다.

 

다만 벤치할 때는 프레임 값의 유동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프레임을 1000으로 바꾸는 건 똑같이 할 것 같습니다.

 

윈도우 10 기준이며 칩셋은 가장 최신인 7.01.08.129 입니다.

 

테스트는 간단하게 한거라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냥 재미로만 봐주세요.

 

agesa 1.2.0.2b와  agesa 1.2.0.3a의 aida 레이턴시의 차이는 없었기에 레이턴시는 첨부하지 않았습니다.

(동일 램오버값 & 기본값 설정)


1. Counter Strike 2 (Steam) - 창작마당 CS2 벤치마크

Settings AVG MIN MAX 1% 0.1%
1.2.0.2b 6000 cl28 669.8 471.4 929.7 271.7 222.6
1.2.0.3a 6000 cl28 671.1 449.8 933.3 271.8 215.3
1.2.0.3a 7200 cl34 2200mhz(+3d Turbo) 675.0 464.9 935.2 277.7 215.9
1.2.0.3a 7200 cl34 2200mhz 655.0 456.1 936.8 267.0 221.4
1.2.0.3a 7200 cl34 2200mhz (resizable bar off) 656.1 452.4 944.6 269.7 233.8

2. PUBG (배틀그라운드) - 개인 훈련장 (동일 조건)

Settings AVG MIN MAX 1% 0.1%
1.2.0.2b 6000 cl28 618.1 594.5 641.9 537.0 510.7
1.2.0.3a 6000 cl28 628.0 607.8 648.7 552.7 517.5
1.2.0.3a 7200 cl34 2200mhz(+3d Turbo) 638.3 611.5 662.0 563.3 530.5
1.2.0.3a 7200 cl34 2200mhz 629.2 607.4 653.8 552.1 514.4
1.2.0.3a 7200 cl34 2200mhz (resizable bar off) 616.7 590.3 639.7 530.2 474.8

3. 오버워치 2 (인게임 프레임 제한 600 - 설정 커스텀) - 훈련장 (동일 조건)

Settings AVG MIN MAX 1% 0.1%
1.2.0.2b 6000 cl28 600.0 597.5 601.8 487.3 341.2
1.2.0.3a 6000 cl28 599.9 587.2 601.9 494.8 324.1
1.2.0.3a 7200 cl34 2200mhz(+3d Turbo) 599.6 597.6 601.9 487.8 247.1
1.2.0.3a 7200 cl34 2200mhz 600.1 598.5 600.9 484.7 320.5
1.2.0.3a 7200 cl34 2200mhz (resizable bar off) 599.6 597.8 601.9 495.5 291.3

오버워치에서는 0.1%가 많이 왔다갔다하기도하고 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져서 너무 맹신하시면 안됩니다.

1.2.0.3a 7200 cl34 2200mhz에서

Average framerate  :  599.6 FPS
Minimum framerate  :  598.9 FPS
Maximum framerate  :  601.8 FPS
1% low framerate   :  490.9 FPS
0.1% low framerate :  384.0 FPS

로 나오기도 하기 때문에 0.1%는 그냥 넘어가도 될 것 같습니다.

4. 마블 라이벌즈 (인게임 프레임 제한 없음 - 설정 커스텀) - 훈련장 (동일 조건)

Settings AVG MIN MAX 1% 0.1%
1.2.0.2b 6000 cl28 322.7 307.5 333.2 211.7 145.4
1.2.0.3a 6000 cl28 318.5 305.1 329.8 258.0 146.6
1.2.0.3a 7200 cl34 2200mhz(+3d Turbo) 325.7 311.1 334.0 259.5 170.1
1.2.0.3a 7200 cl34 2200mhz 318.2 303.9 329.1 252.8 134.9
1.2.0.3a 7200 cl34 2200mhz (resizable bar off) 318.4 302.7 325.6 259.4 130.1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1% 오차가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참고바랍니다.

같은 구간에서 아래 134.9와 130.1이 200대일 때도 있습니다.

5. 툼레이더 (그래픽 품질 - 최고급) - (동일조건)

Settings AVG MIN MAX 1% 0.1%
1.2.0.2b 6000 cl28 615.7 394.3 713.5 489.4 471.9
1.2.0.3a 6000 cl28 609.3 498.7 726.1 487.3 473.2
1.2.0.3a 7200 cl34 2200mhz(+3d Turbo) 610.7 490.9 710.6 484.4 467.9
1.2.0.3a 7200 cl34 2200mhz 608.2 454.9 689.3 482.1 464.4
1.2.0.3a 7200 cl34 2200mhz (resizable bar off) 604.6 466.7 708.6 485.6 467.9

6. 번외 패스오브엑자일 (120 프레임 고정)

Settings AVG MIN MAX 1% 0.1%
1.2.0.2b 6000 cl28 119.9 119.9 120.1 112.4 107.8
1.2.0.3a 6000 cl28 119.8 119.9 120.1 112.9 111.1

 

벤치하기 얘매해서 쓰지 않으려다가 첨부만 했습니다.

 


결론 : 업데이트 후 램오버 값을 더 올리는게 좋을 것으로 보이나 굳이 업데이트 할 필요 없어보임

레이턴시 큰 차이 없고 aida64 벤치의 l3의 쓰기 값이 안좋아졌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오히려 업데이트 후에 해당 램오버 값이 안정적으로 먹혀서 잘 나오고 있습니다.

 

1.2.0.2b의 l3값이 (y-cruncher에서 문제가 없었으나 약간 불안정한건지?) 오락가락 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여기선 없네요.

 

벤치마크는 최대한 동일 조건에서 하려고 했고 벤치마크 기점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어서 최대한 비슷하게 값이 나오게 했습니다.

 

동영상도 촬영하다가 그냥 기본일때를 비교하고 싶고 너무 복잡해질 것 같아서 이정도로 간단하게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6400이나 6600을 도전해보려고 하는데 생각보다 그렇게 수율이 좋아지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멤컨의 한계였던 경우에는 아무래도 비슷할 것 같아서 업데이트를 굳이 할 필요는 없어보이는데 그렇게 드라마틱하게 램오버가 안되던게 램오버가 되는 느낌은 아니고 안정성이 증가했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마치며 안정화 툴에 대하여 말씀드립니다.

제가 tm5를 많이 사용했고 심도깊게 확인할 경우 hci를 사용했는데 y-cruncher 하나만 사용해도 검출이 잘 되고 tm5에서 검출되지 않는 오류도 y-cruncher에서는 잘 나오기 때문에 y-cruncher를 통해 오버 안정화를 보고 있습니다.

 

tm5로 통과했고 컴퓨터에 이상이 없으시더라도 y-cruncher 한 번 돌려보시고 오류가 나면 변경하셔야 합니다.

2023.02.27 - [정보/유틸리티] - DDR5 램오버 테스트 프로그램 / ycruncher 사용법 / 램오버 안정화

 

DDR5 램오버 테스트 프로그램 / ycruncher 사용법 / 램오버 안정화

y-cruncher DDR5로 바꾸면서 램오버 안정화를 여러가지 해봤는데 tm5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서 다시 검사하면 오류가 뜨는 등 좀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서 ycrunche

cofgame.tistory.com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