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0 cl26 1차부터 세부까지 램타로 레이턴시 개선
6000 cl26 램타이밍 개선해보기
이번에 렉사에서 6000 cl26 키트가 나왔는데 983d 레이턴시가 55가 나온다는 말을 듣고 시도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들이 갖고 있는 하이닉스 A다이로 얼마까지 가능한지 테스트하고자 함이 목적입니다.
실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보고 있지만 아무래도 해당 램만큼은 아닌 듯 합니다.
1. 6000 cl26 1차까지 조였을때 (안정화 가능)
BIOS | Settings | 비고 |
클럭 | 6000 | |
SOC | 1.3 | |
CPU VDDIO | 1.4 | |
DRAM | 1.5 | |
VDDQ | 1.5 |
BIOS | Settings | 비고 |
cl | 26 | |
tRCD | 38 | |
tRP | 38 | |
tRAS | 32 |
1차만 조였을 때 안정화 가능
6400 cl28기준 세부 램타까지 조였을때 9800x3d에서 67ns정도 나오는데 1차만 조이고 이정도면 괜찮아보입니다.
2. 2차 램타 반정도 조금만 줄인 상태 (안정화 가능)
안정화도 생각해야하고 확 줄였을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조금씩 나아가는 방향으로 시도했습니다.
추가로 실사했을 때 안정화돼도 불안정성이 느껴지면 시도하지 않습니다.
사실 젠타이밍으로 보는게 불편하다고만 생각했는데 세부적으로 보여드리려면 이게 좋다고 생각해 함께 올렸습니다.
읽기속도가 약하긴한데 아마 세부램타까지 조이면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BIOS | Settings | 비고 |
클럭 | 6000 | |
SOC | 1.3 | |
CPU VDDIO | 1.4 | |
DRAM | 1.5 | |
VDDQ | 1.5 |
BIOS | Settings | 비고 |
cl | 26 | |
tRCD | 38 | |
tRP | 38 | |
tRAS | 32 |
전압과 1차 동일 - 2차 약간 변경
BIOS | Settings | 비고 |
tRC | 136 | |
tWR | 84 | |
tREF | 12000 | |
tRFC1 | 824 | |
tRFC2 | 447 | |
tRFCSb | 364 | |
tRTP | 21 | |
tRRD_L | 14 | |
tRRD_S | 8 | |
tFAW | 32 | |
tWTRL | 28 | |
tWTRS | 7 |
나머지 오토값은 직접 입력해도 안정화됩니다.
3. 세부 램타 조정 첫번째 시도 (안정화 가능)
완전 조인게 아니라 널널하게 조였습니다.
오토 값보다 더 조인 상황입니다.
충분히 안정화 가능했습니다.
BIOS | Settings | 비고 |
클럭 | 6000 | |
SOC | 1.3 | |
CPU VDDIO | 1.4 | |
DRAM | 1.5 | |
VDDQ | 1.5 |
BIOS | Settings | 비고 |
cl | 26 | |
tRCD | 38 | |
tRP | 38 | |
tRAS | 32 |
BIOS | Settings | 비고 |
tRC | 100 | |
tWR | 60 | |
tREF | 24000 | |
tRFC1 | 770 | |
tRFC2 | 447 | |
tRFCSb | 364 | |
tRTP | 20 | |
tRRD_L | 12 | |
tRRD_S | 6 | |
tFAW | 28 | |
tWTRL | 24 | |
tWTRS | 6 | |
tRDRD_SCL | 4 | |
tRDRDSC | 1 | |
tRDRDSD | 4 | |
tRDRDDD | 4 | |
tWRWR_SCL | 20 | |
tWRWRSC | 1 | |
tWRWRSD | 4 | |
tWRWRDD | 4 | |
tWRRD | 8 | |
tRDWR | 20 |
전부 조인 상황입니다. 다만 값이 아직 널널해 안정화가 쉬운 범주입니다.
4. 세부 램타이밍 두번째 시도 (안정화 가능)
BIOS | Settings | 비고 |
클럭 | 6000 | |
SOC | 1.3 | |
CPU VDDIO | 1.4 | |
DRAM | 1.5 | |
VDDQ | 1.5 |
BIOS | Settings | 비고 |
cl | 26 | |
tRCD | 38 | |
tRP | 38 | |
tRAS | 32 |
BIOS | Settings | 비고 |
tRC | 80 | |
tWR | 60 | |
tREF | 48000 | |
tRFC1 | 770 | |
tRFC2 | 447 | |
tRFCSb | 364 | |
tRTP | 18 | |
tRRD_L | 10 | |
tRRD_S | 5 | |
tFAW | 26 | |
tWTRL | 20 | |
tWTRS | 6 | |
tRDRD_SCL | 4 | |
tRDRDSC | 1 | |
tRDRDSD | 4 | |
tRDRDDD | 4 | |
tWRWR_SCL | 15 | |
tWRWRSC | 1 | |
tWRWRSD | 4 | |
tWRWRDD | 4 | |
tWRRD | 8 | |
tRDWR | 20 |
위에서 램타를 더 줄여보았습니다.
딱히 레이턴시나 읽기 쓰기값의 차이가 없어서 기존값들은 고정을 시키고 여기서 조금 더 발전시켜보았습니다.
읽기가 늘어날 뿐 크게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말했던 레이턴시 50대는 사실상 불가능해보이는데 신기한 램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GDM의 경우 꺼도 부팅은 되지만 바로 오류가 검출되는 모습을 보여 Auto(기본값) 사용을 권장합니다.
전체적으로 agesa 1.2.0.2a에서 시도한 바이며 알아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새로 나온 바이오스 Agesa 1.2.0.2b 기능
새롭게 agesa 1.2.0.2b가 나왔고 새로운 기능인 zen5 Optimizations 기능이 나왔습니다.
Legacy : 가장 최적화 된 기능으로 레이턴시가 5~8까지 줄어듦 (기본값인 Auto 값이라고도 하는데 직접 설정 권장)
레벨 1 : agesa 1.2.0.2a 와 동일
레벨 2 : 1.2.0.2a보다도 조금 더 좋지 않음
레이턴시 면에서는 그렇지만 게임 등의 프레임 면에서는 레벨 2가 가장 좋다고 합니다.
그래서 기본값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여기서 확인하셔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최근에 정식 1.2.0.2b가 나왔습니다.
여기서 생겨난 부분이 zen5 optimizations 기능 외에 Core Tuning이라는 기능이 생겼는데 마찬가지로 legacy 부터 레벨1, 레벨2, auto로 옵션이 동일합니다.
개인적으로 core tuning은 오토값이 level2로 잡히는 듯하며 가장 퍼포먼스가 좋은 듯 하니 건들지 마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3d gaming mode를 사용하게 되면 zen5 optimizations 기능이 바이오스에서 없어지게 되는데 아무래도 고정적인 조정이 있는 듯 합니다.
(현재 베타로 1.2.0.3a가 나온 상태라 벤치마크 등 테스트 해볼 생각입니다.)
참고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