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오버 잘 안될 때 한번 해볼 방법

기가바이트
기가바이트 바이오스 램오버 옵션 관련

램오버가 불안정하고 안될 때

특히 이전 바이오스에서는 괜찮다가 최신 바이오스에서 불안정해졌거나

 

뭘 해도 안될 때 최후의 보루 정도라 생각하고 마지막으로 시도해보기 바랍니다.

 

될거란 보장은 할 수 없습니다.

1. SA-GV - Disabled

기본값은 Auto인데 오토 상태에서 켜지면서 오류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 Disabled로 시도해보고

 

불안정함이 잡히는지 테스트해볼 수 있겠습니다.

SA GV
System Agent Geyserville

위치

탭
Tweaker 탭
고급 메모리 설정
Advanced Memory Settings - 고급 메모리 설정
SA GV - Auto 기본값에서 변경

한번에 두개 다 하는게 아닌 1번 먼저해보고 안되면 2번까지 시도해보기 바랍니다.


2. Memory Timing Mode - Fixed로 변경

일단은 기본값이 권장이지만 1번을 해보고도 안되면 시도해보세요.

 

해보고도 안되면 그냥 기본값으로 되돌리시기 바랍니다.

메모리 타이밍 모드
Memory Timing Mode - Dynamic 기본값에서 변경

옵션은 Dynamic(기본값)과 Fixed가 있습니다.

 

수동 램오버 할때 적합한 것 같기는한데 설명서에서도 딱히 언급을 하지 않는 걸로 보아 기본값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여러가지 Dynamic 관련해서 Dynamic 옵션에서 항상 불안정해졌어서 찾다가 보게됐는데

 

Dynamic이 기본으로 돼 있는 옵션이라서 한번 테스트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Dynamic이 불안정하게 하는 것 같지는 않지만 자꾸 불안정하거나 램오버가 안되는 분들은 해당 부분을

 

Fixed로 변경 후 테스트해보세요.


그 외 바이오스에 대한 내용

Memory Boot Mode

메모리 부트 모드
메모리가 부팅 시 감지&학습 관련 옵션

이건 선택인데 램오버 하시는 분들은 Disable Fast Boot를 추천드립니다.


Gigabyte Utilities Downloader

끄기 추천
기가바이트 유틸리티 다운로더 옵션
Settings 탭
경로
경로
설정
기가바이트 유틸리티 다운로더 설정
끄기
기가바이트 컨트롤 센터 미사용 시 끄기 추천

해당 기능은 Gigabyte Control Center를 쓰는게 아니라면 역시나 꺼주시기 바랍니다.

 

쓸데없이 서비스에 생기기도 해서 리소스를 1이라도 더 잡아먹게 되니 꽤나 불필요합니다.


이전에는 다룬적 없던 부분 - Memory Enhancement Settings

3가지 옵션이 있고 옵션마다 다른 성능을 내는데 비교는 하지 않았지만

 

자동 오버 시에 이 값을 잘 이용하면 꽤나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특히 xmp에서 이것까지 잘 이용하면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단점도 있을 것 같아 일단은 알아만 두고 나중에 테스트하게 되면 테스트 해봐야 할 부분으로 보입니다. 

메모리 향상 설정
메모리 향상 설정
선택 옵션은 오토 제외 3가지
테스트가 필요한 부분이라 알고만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 바이오스에 대한 내용

바이오스 설명서 공식
기가바이트 공식 바이오스 설명서

기가바이트 설명서에 여러가지 자세한 내용이 있으니 더 궁금하신 분들은 해당 설명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찾아보니 해당 설명서가 최신 바이오스 설명서로 보이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