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GPU :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3080 SG D6X 10GB
그래픽 카드 측면 배기 쿨러 추가 : noctua NF-A8 PWM
케이스 : 쿨러마스터 MasterBox H500P MESH ARGB
시스템 쿨러 : 후면 쿨러는 녹투아 noctua NF-A14 PWM 나머지는 쿨러마스터 H500P 기본쿨러
파워 : CORSAIR AX1000 80PLUS TITANIUM
CPU : AMD 라이젠 Zen3 버미어5900X (정품) / 초기수율
SSD : 삼성전자 970 PRO M.2 2280 (1TB)
쿨러 : NZXT KRAKEN X63
메인보드 : ASRock X570 EXTREME4 에즈윈
램 : G.Skill DDR4-3200 CL14 TRIDENT Z RGB 패키지 16GB(8x2) / B다이 / 단면 / 2번, 4번 슬롯 A2, B2
램 스팟쿨링 : NOCTUA NF-A12x25 PWM
추가 쿨러의 경우 PWM으로 구매를 추천드립니다.
RPM 최대 성능이나 조절이 더 용이합니다
PWM : 4핀 / 온도 /DC : 3핀 / 전압
쿨러 사실때 전압 확인 잘해주세요.
5V 짜리는 일반 메인보드에서 사용 불가합니다. 12V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아무래도 그래픽카드 열을 저 쿨러가 막아주다보니 램 스팟쿨러로 10도 가량 좋아졌고
그래픽카드 측면쿨러를 두고 5도에서 10도가량 좋아졌습니다.
후면 쿨러도 녹투아로 바꿔서 세개가 녹투아네요. 이쁜 내부는 아니지만 성능위주로 선택했습니다.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하나면 충분한데 두개를 구매했던 지라 하나만 거의 지탱되고 하나는 놀고 있습니다.
라디에이터는 보다시피 흡기와 가깝게 배치했습니다.
다른 의견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측정해본 결과 온도는 더 좋았습니다.
라디에이터 쿨러도 바꾸려다가 참았습니다. 자체쿨러도 소음제외하면 성능 비슷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h500p의 윗면은 아크릴로 덮여져 있는데요.
위에 아크릴을 제거하고 위에 메쉬소재를 붙였습니다.
아크릴은 윗면만 제거했어요.
원래는 이렇게 아크릴이 위에서 덮고 있습니다만
잘라내고 이렇게 붙였습니다. 양면테이프랑 본드를 발라서 덮었어요. 괜찮더라구요.
여기까지가 소개입니다.
최적화 정보는 위 하드웨어 기반으로 사용했으며
제 정보가 무조건 옳은 것은 아닙니다.
글들은 조금씩 수정될 수 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이 글은 제 CPU 오버값으로 저장용입니다.
Ryzen master로 코어수율 확인 및 커브옵티마이저 적용 Bios 상에서 오버클럭 Advanced 후 PBO LIMIT을 MotherBoard로 변경 후 라이젠 마스터 실행 - > PPT, TDC, EDC 값 체크 후 Precision Boost Overdrive = PBO = Advanced
PBO Limits : Manual로 변경
PPT limit [W] 500
TDC limit [A] 380
EDC limit [A] 380
Precision Boost Overdrive scaler : manual
Precision Boost Overdrive scaler : 10X
입력 라이젠 마스터 제거 (저는 라이젠마스터 확인말고는 절대 안씁니다.) 안정화툴은 OCCT로 부하 및 안정화 테스트 완료
occt 데이터설정 중간 / 모드 보통 / 로드유형 가변 / 고급 코어 한개씩 테스트 / 물리 및 가상 / 코어 사이클 선택
CCD0
CCX0
Core 0 : Negative 30
Core 1 : Negative 17 ⭐️
Core 2 : Negative 16 ⚪️
CCX1
Core 3 : Negative 26
Core 4 : Negative 29
Core 5 : Negative 23
CCD1
CCX0
Core 6 : Negative 29 ⭐️
Core 7 : Negative 30
Core 8 : Negative 30
CCX1
Core 9 : Negative 30 ⚪️
Core 10 : Negative 30
Core 11 : Negative 24
+ 바이오스 세팅
Advanced/CPU Configuration
SVM Mode - Disabled
AMD fTPM switch - Disabled
(Agesa 1.2.0.7 나오기전까진 끄기)
Advanced/Onboard Devices ConfigurationTurn on LED in S5 이 부분은 참고컴퓨터 꺼진상태에서도 주변기기나 Led 끄고싶으면 꺼주시면 됩니다.기본값은 켜짐입니다.저는 그냥 안건들고 기본값 그대로 둡니다.
리사이즈바 사용
Boot/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
CSM - Disabled
완료 후
Advanced/PCI Configuration
Above 4G Decording - Enabled
Re-Size Bar Support - Enabled
리사이즈바 사용 안할 시에는 CSM은 기본값으로 두시길 추천드립니다.
나중에 리사이즈바가 아에 기본값이 켜짐이 되는게 아닌 이상은 어떤게 맞는지는 정답이 없습니다.
CSM은 안건드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만 리사이즈바 켤 때는 불가피하므로 끕니다.
명시된 바이오스 제외하고 안건드셔도 됩니다.
윈 11을 사용중입니다.
게임환경은 윈도우10이 더 좋다고 하는데 저는 최적화 다하고
사용했을때 스타터링이나 렉 없었습니다.
정식출시 후 바로 윈11 쭉 사용중입니다.
그리고 제 의견입니다만
interface x16 Bus Interface를 gen4 사용시 오히려 화면이 밀리는 경우가 있어서 fps향상이 의미있을진 모르겠지만 안쓰는걸 추천드립니다. Auto 권장/ 기본값이 Auto
오랫동안 gen4로 써봤고 다시 오토로 돌아가본 체감입니다.
그리고 이건 확실한데 vr의 경우 이걸 gen4로 했을때 호환성
문제로 잦은 연결끊김이 있을 수 있기때문에 gen3로 설정하면 해결됩니다.
저는 그냥 안건들고 기본값 씁니다. / AUTO
쿨링을 위해 팬튜닝도 썼습니다. 직접 만져도 되는데 애즈락은 자체적으로 팬튜닝이 있어서 사용해봤습니다.
램오버는 다 써봤는데 이게 가장 안정적이면서 퍼포먼스도 좋았습니다.
레이턴시 54.7 / 안정화 완료 / 안정화툴 TM5 anta777 extreme
Overclock Mode (Bus speed) - Manual
BCLK (MHz) - Auto
제가 쓰는 보드의 경우 manual로 두고 auto로 둔 이 값일때
BCLK가 변동이 생기지않고 100을 잘 유지했습니다.
99.8 찍히는 경우도 있어서 불편했었는데 그냥 완벽하게 100으로 고정되게끔 하는 법입니다.
99.8이 나와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저는 100으로 고정했습니다.
현재값이 현재 해놓은 pbo 세팅과 가장 잘 맞아서 사용중 입니다.
이전에 램오버를 2차, 3차에 세부저항값까지 다 만졌었는데요. 안정화는 됐는데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서 돌아와보니 오히려 레이턴시나 게임했을때 스타터링도 안느껴졌습니다. 램오버 실패였는지도 모르겠어요.
안정화 테스트에 성공했다해도 막상 게임을 하거나 이럴때 문제가 발생하면 그것도 실패니까요.
이거와도 다르게 1차 스트레이트 값만 주고 ALL 오토로 준 경우에는 안정성에서 역시나 최고(값들이 풀리면서)였고
trc랑 trfc는 많이 풀리긴 했는데 레이턴시가 엄청나게 늘어나는 느낌이 아니라 풀고 사용해보고 있습니다.
언급 안된 부분은 다 Auto 입니다.
제가 다 사용해본 바로는 14-14-14-14-28 ALL AUTO REAL 1T 1.5V
제일 안정적이고 게임했을때 정확도도 확실했습니다.
뭔가 더 안정적이고 화면 밀린다는 느낌이 없었습니다.
너무 극으로 조이면 아무리 안정화를 해도 불안정한 느낌이 있는데 확실히 안정적인 면이 최고같습니다.
2차, 3차 다 만져봤지만 앞으로는 그냥 1차만 스트레이트로 쓰고 ALL AUTO로 쓸것같습니다.
GDM OFF Real 1T
안정적 세팅
램 전압과 함께 더 안정적인 세팅
더 불안정해진다는 느낌때문에 안만졌었는데 적당히 만지면 더 안정적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레이턴시 55.1 나오는데 더 안정적입니다. 램 전압은 1.42까지 안정화 봤는데 혹시 몰라서 1.45로 사용 중입니다.
방열판 및 스팟쿨링 둘다 사용중입니다.
Apply로 적용까지 해주어야 합니다.
agesa 1.2.0.7로 올린 뒤 세팅
이상하게 아게사 올리고 뭔가 부드러워졌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체감이라 확실하진 않지만 현재 맞춰서 쓰고 있는 세팅입니다.
3800 / 1900
14-14-14-14-32 1차 램타 및 trc 46 trfc 312 trfc2 192 trfc4 132 까지만 만지고 ALL Auto
전압 1.5 Real 1T (GDM OFF)
애초에 mbr 사용하는게 아니면 Disabled가 맞습니다. GPT 사용자들은 Disabled 해주세요.
UEFI Only로 두고 써도 무방한데 부팅속도가 좀 늦더라구요.
그리고 이번엔 Gen3로 써보고 있습니다. Gen4는 일단 밀리는 느낌이 있고 호환성에서 문제생기는걸 봤는데 쓰는 중인데 맘에 듭니다. 체감상일지도 모르겠지만요.
레이턴시 더 줄여도 되긴한데 뭔가 지금이 안정적이라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뱅가드 켜져있어서 끄고 다시 잰 레이턴시
gpu 스케줄링 및 리사이즈바도 안쓰고 있습니다.
22/07/10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On
리사이즈바 활성화안쓰다가 써본결과 fps에이밍할때 순간 버벅거리는 느낌이 많이줄었습니다. 이게 문제가아니였네요.저는 쓰는게 맞는 것 같아요.
+ 그래픽 설정 / 프로그램 고성능 / 윈도우11은 자동인데 윈10은 수동입니다.
수동오버로 변경 / 다만 pbo를 켜서 ppt, tdc, edc 제한 해제를 해준다고 하는데 disabled 설정입니다.
PBO에 관해서도 말이 많아서 꺼보고 싶었습니다. AMD를 3600 -> 5900 이런식으로 쭉 써오고 있지만 뭔가 이것저것 문제가 있네요.
사진이랑 똑같이 했습니다. 아래는 설명입니다.
Overclock Mode(Bus Speed) Manual
저는 수동오버를 하던 안하던 Manual로 둬서 똑같습니다.
Auto로 두면 BCLK가 100고정이 안되더라구요. 상관은 없습니다.
Auto에서는 Spread Spectrum Diabled로 되어있는데 Manual로 하면 자동 Disabled 입니다. 참고해주세요.
Manual로 하면 BCLK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데 100으로 입력해줄 필요없이 Auto로 둬도 100고정 됩니다.
SoC/Uncore OC Mode Enabled
asrock 수동오버
CPU Frequency and Voltage(VID) Change를 Manual
Frequency(MHz)는 CPU 클럭으로 47배수일 경우 4700 이런 식으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그 밑은 CPU 전압입니다. Voltage(VID) 1.25V를 넣었습니다.
램오버
3800 / 1900
14-14-14-14-28 1차 램타 및 trc 42 trfc 312 trfc2 192 trfc4 132 까지만 만지고 ALL Auto
전압 1.5 Real 1T (GDM OFF)
램타 조금 변경입니다. 프라임95 및 memtest 안정화 47배수 넣고싶은데 바로 꺼져버리네요 ㅠㅠ 초기에 나왔을때 산거라 요즘 수율만큼 좋진않네요. 써본결과로는 앞으로는 (pbo 끈)수동오버로 쭉 쓸것 같습니다. 샷 등이 정밀해지고 프레임이 균등하며 최저프레임 쪽에서 더 균등해서 그런지 오차가 적어졌습니다. 프레임의 균등함과 함께 인풋렉 역시 균등해지는 느낌인지는 모르겠는데 저는 수동오버가 나은 것 같아서 앞으로는 수동오버만 사용할 것 같습니다. CPU
46배수 1.25V
PBO Disabled PSS Support Disabled Globla C-state Control Disabled RAM
3800 / 1900
1차 램타 14-14-14-14-28
trc 42 trfc 312 trfc2 192 trfc4 132
And ALL Auto
전압 1.5 V Real 1T (GDM Disabled)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Enabled / 윈도우
리사이즈바 Enabled / 바이오스
CSM Disabled PCIe x16 Bus Interface Gen3 47배수가 되면 더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지금까지 쓴 세팅 중에 가장 만족스럽습니다.
Agesa 1.2.0.7 Beta 입니다. / 게임에선 프레임 제한 해제합니다.
22/08/23 새로운 세팅
48배수 전압 1.375V LLC level 2 사용 SMT OFF
그리고 수동오버시 참고로
asrock 보드만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CPU Frequency and Voltage(VID) Change를 Auto로 바꾸어야 CCD0의 CCX0과 CCX1, CCD1의 CCX0과 CCX1을 따로 설정 가능합니다.
수동오버는 따로 설정하는게 맞긴합니다.
요런식으로 가능 / 참고 스크린샷 입니다.
LLC랑 SOC LLC만 조금 만졌습니다.
Asrock 보드는 LLC level 2가 설정 전압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했습니다. Level 2 ~ 3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Level 1과 4는 오히려 불안정했습니다.
Level 2 추천드립니다. 에즈락 보드 기준
SOC 전압 1.1 -> 1.15로 변경 테스트 겸 / 메모리 오버 안정성
1.1도 실사용에 문제 없었으나 테스트겸 해봤습니다.
CCD0
ccx0 4750
ccx1 4650
Ccd1
ccx0 4750
ccx1 4650
LLC LEVEL2 사용 SMT Auto{ON(기본값)}
soc전압을 1.15 계속 사용 / 메모리 오버 안정성
22/08/25
46배수 1.35V LLC LEVEL2 smt off 사용 soc 1.1(auto값)
나머지 그대로
전엔 occt로 안정화를 봤었는데 prime95는 생각보다
컷이 높았습니다. 전압을 높게 줬고 더 테스트 해봐야겠습니다.
CTR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초기에 나왔을 때 산거라 그런지 수율문제도 있어보입니다.
Smt는 끄는게 뭔가 빠릿한거같기도한데 해골물 같기도 합니다. 프레임 그렇게 차이도 안나는것 같고 일단 꺼보고 퍼포먼스를 봐야겠습니다.
Smt를 끄면 화면이 밀리는 듯한 느낌 등등의 문제가 있는것 같다고 느꼈었는데 그 때 공통점이 cpu 오버를 만진 시점이여서
다시 확인해보니 smt가 화면을 밀리게 하는게 아닌 cpu 오버실패로 화면이 밀리는 것이였습니다.
오히려 빠릿빠릿한 느낌이라 끄고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SOC 전압은 테스트용 / 시피유 오버쪽이랑은 관련 없습니다.
그리고 시피유 오버시에 배수는 낮게 전압은 높게할 경우에도 역시 안정화가 되는게 아니라 오히려 불안정해졌고 재부팅까지 됐습니다. 적정값을 찾는게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8/26
CTR 2.1 사용 / 계산기 용도
Prime95 통과 세팅 / 실버 수율
아쉽게도 수율이 좋은건 아니지만 안정적인 세팅을 찾았습니다. 역시나 수율이 좋은건 아니였네요.
Prime95 자체의 통과 컷이 높은데 아에 안정적인 세팅도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수율이 안좋으면 pbo가 나아보이는데 pbo2를 사용할 수 있으면 pbo2가 나아보입니다.
좀 써보다가 pbo2를 prime95로 테스트 해볼까 합니다.
일단 정리하자면 현재 세팅은
SMT OFF 및 수동오버를 위해 PSS Support Disabled
SVM은 가상화 안쓰므로 Disabled, AMD fTPM swithch도 Disabled
이번엔 PCIe x16 Bus Interface는 기본값으로 두고 나머지도 기본값으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 테스트
좀 아니다 싶으면 Gen3로 돌아갈 것 같습니다.
Global C-state Control Disabled / 수동오버를 위해 꺼줍니다.
리사이즈바를 켜기위해 꺼줍니다.
리사이즈바를 켜기위해 Above 4G Decoding Enabled
Re-Size BAR Support Enabled
CPU 오버
램오버
LLC Level과 SOC 전압
22-08-31
SMT ON
smt 끄다가 켜보는 걸로 테스트 해본 결과
smt는 켜는게 맞습니다.
화면밀리는것 뿐만 아니라 프레임 차이도 심하더라구요.
일단 제가 하는 게임에서 그럴진 몰라도 저는 이제 끌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과거에나 끄면 좋다였지 이제는 켜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거의 2번째 테스트인데 저는 이제 오토로 항상 쓰려고 합니다. 22-09-02
CURVE OPTIMIZE로 변경 / 테스트
PSS SUPPORT와 global c-state 는 기본값
Pbo limit manual
500 380 380
Scaler x10
프라임 95로 정밀값 계산 기존 값을 썼을때 오류는 없었습니다만
다시해서
전체 네거티브 30부터 시작했습니다.
퍼코어 Negative 30으로 시작해서 내려가려고했는데
프라임 95 오류검출이 안돼서
올코어 Negative 30으로 변경 후 오류검출은 안되는데
온도는 90도에 멈춰있더라구요.
Cpu 100퍼에 부하를 계속 줄일이 거의 없다는 판단 하에
All core negative 30 사용중 입니다.
그리고 여러 테스트 결과 리사이즈바는 끄는게 맞다고 판단되었습니다.리사이즈바가 문제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리사이즈바를 켜기위해 켜야하는 4G Decoding이 버그가 있었습니다.성능이 늘어난다곤 하나 오차값이고 버그나 문제가 생기는걸로 보아 꺼야할 것 같습니다. (CSM이 문제였습니다.)
참고로 리사이즈바 Enabled로 해놔도 위에 4G Decoding이 꺼지면 꺼집니다.
Nvidia 제어판에서 확인가능
https://cofgame.tistory.com/40
참고바랍니다.
전체적인 세팅에서 공통점으로는 저는 쿨링은 퍼포먼스로 해놨습니다. 참고바랍니다.
커브 옵티마이저를 쓰자마자 역체감으로 스타터링은 아닌데 화면이 부드럽지 않다는 느낌이 역체감으로 너무 심했습니다.
진짜 앞으로는 안쓸것같습니다. 역체감이 너무 심해서 당황했습니다.
44배수 (4400) 1.275V
PSS Support Disabled
Global C-state Disabled
PBO Disabled
LLC Level 2
쓴것 제외하곤 나머지는 그대롭니다.
오류때문에 끈 것도 공통입니다.
오히려 4500에 1.35V는 부팅하다가 바로 꺼져버리는 등 뭔가 수동오버는 해볼게 많은것 같습니다.
제대로 된 값 찾는 여행이 되겠네요. 그 전에 인텔로 갈지도 모르겠습니다. ddr5 튜닝램이랑 그래픽카드도 새로운 세대 나오면 넘어가려고 합니다.
i7 8700k - 3600x - 5900x 이렇게 쓰고 있는데 다음 컴은 인텔써봐야 될 것 같습니다.
다해본결과 asrock 보드는 llc옵션쪽에 cpu vcore voltage라는 란이 있더라구요.
그게 auto로 돼있어서 그랬던것같습니다.
그냥 voltage와 따로 들어가서 하는 cpu vcore voltage를 같은 값으로 맞췄습니다.
계속 테스트 해본 결과 CPU VCORE VOLTAGE가 진짜 CPU 전압이 맞습니다.
VOLTAGE(VID)는 건들지 않아도 CPU VCORE VOLTAGE에 맞게 자동으로 변환됩니다.
놔두면 Cpu Vcore Voltage에 따라 AUTO값으로 잡힙니다.
Ex) vcore voltage 1.28V -> vid voltage값이 자동으로 1.275로 변경
다시 안정화 해보려고합니다.
4600/ 1.25V / 1.25V / llc도 1로 자동으로 변해있어서 llc2로 바꿨습니다.
SOC 전압은 그대로 1.1로 돌렸습니다. SOC LLC 는 오토값입니다.
H/W Monitor에서 조금 바뀐 부분이 있는데요.
이 부분은 그대로고
메인보드 모니터링에서 CPU 모니터링으로 바꿨습니다.
Monitor M/B -> Monitor CPU
펜세팅은 이전과 같음
22/09/05
4700 / 1.35V / 1.35V
22/09/06
llc 1로 변경
hwinfo 확인해본 결과 llc2도 전압강하가 있습니다.
llc 쓴다고 설정 전압에서 더 풀어주고 이러지 않았고 똑같은 강하가 있었지만
강하가 가장 심하지 않았습니다.
llc 1로 쓸 예정입니다. 해본결과
Cpu voltage만 fixed mode로 해서 변경해주고
전압 입력해주면 vid/voltage는 자동으로 그 값에 맞춰 변경됩니다.
배수랑 cpu voltage만 입력하면 될 것 같습니다.
Asrock LLC의 경우
Level 1은 온도 상승이 너무 심할 수 있습니다만 온도보고 설정하시면 됩니다.
Level 2는 적절했으며
Level 3은 꺼졌습니다.
Level 1은 extreme 느낌 Level 2는 high 느낌
써멀 변경 후
초반에는 온도가 다 높게나오다가 시간 지나니까 원래보다 좋은 온도로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불완전한 모습을 보여서 실패인줄 알았는데 더 좋은 온도를 보입니다.
드라마틱한 정도는 아닙니다.
너무 잔뜩발랐다가 오히려 안좋아서 몇번이나 다시 발라본 것 같습니다.
역시 조금만 발라서 펼치는게 가장 좋았습니다.
나사 역시 너무 꽉 조이는게 아니라 편하게 돌려서 걸리는 곳까지만 하고 더 꽉 조이지 않았습니다.
CPU도 빼서 닦다가 슬롯에 구리스가 들어가서 칫솔로 닦아내는 등 해프닝이 있었습니다만
잘 해결하고 잘 발랐습니다.
또한 바로 켜자마자 벤치했을때는 오히려 온도가 높았는데
1-2시간 정도 지나니 온도가 오히려 좋아졌습니다.
아무래도 밀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펼쳐지는 등의 시간이 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계속 벤치하면서 뜨겁게해서 잘 펼쳐지게 했습니다.
다만 프라임95는 너무 온도가 확 튀는 경향이 있어 시네벤치23이나 OCCT로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크라켄 x63 기본서멀 -> Thermalright TFX (2g)
써멀 바를 때 꼭 지켜야 할 점
1. 도포량
두꺼워지거나 너무 많으면 오히려 온도가 오릅니다. 적당히 얇게 펴질 정도로
2. 써멀 도포 후 쿨러 재장착 시 나사결합은 손으로만 끝까지 힘줘서 밀착(드라이버 금지) 해주세요.
끝까지 조이는건 같지만 드라이버로 하지 않습니다.
손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은 손으로만 해야 합니다. 오히려 온도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로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고 드라이버로 너무 꽉 조이면 고장 날 수 있습니다.
써멀이 더 좋아졌는데도 이렇게 하니까 온도가 엄청 올랐습니다.
드라이버로 3-4번 조여본 결과 이랬고 바로 드라이버로 풀고 손으로 다시 조이니까 고쳐졌습니다.
참고바랍니다.손이 닿기 힘든 경우라면 손으로 돌리듯이 딱 걸리는 수준까지만 손에 힘을 빼고 돌리면 될 것 같네요.
두가지만 지켜주세요.
오버 설정값
Frequency(MHz) : 4700
Vid(Voltage) : AUTO (아무값이나 넣어두면 AUTO) / 건들지 말것
CPU Vcore Voltage : 1.35V
LLC 1
설정 저장하면 VID값은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크라켄 x세대는(z는 캠에서만 조절가능)바이오스에서 팬속 조절이 가능합니다
nzxt 캠을 쓰기 싫어서 조절해봤습니다만
기존에 1200rpm에서 뭘해도 안되네요.
아무래도 펌프 조절단자는 메인보드쪽에 연결 안한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해봐야겠습니다.
Cha_fan1/wp - 후면 배기 쿨러
Cha_fan4/wp - 연결없음
Cha=chassis
내부 선 다 확인해본결과 다 잘 연결돼있는데
선위치를 바꾸기엔 선정리때문에 힘들었습니다.
Nzxt cam도 깔아보고 다 해본결과
이게 맞는 세팅이였습니다. 바이오스로 조절 가능한 것 같기도합니다. 일단 nzxt cam이 깔렸다가 지워지면서 설정됐다가 초기화 될 경우도 있으니 다시 포스팅 하겠습니다.
저는 이걸 풀로 바꾸니 풀 rpm으로 찍혔습니다. CPU FAN 1 세팅에 따라 라디에이터 쿨러 rpm과 함께 펌프 속도도 따라간다고 알고 있어서 이렇게 설정했습니다.
CHA_FAN1/WP Switch만 풀스피드로 줬습니다.
후면 배기 쿨러가 하나라서 했습니다.
초기화를 위해 nzxt cam이 지워진 상태에서 컴퓨터를 완전히 껐다가 파워내리고 전원버튼 누른 뒤에 파워 올리고 다시켜보니 초기화 되니까
다시 돌아왔네요. 아마 일단 제 바이오스에서는 설정은 안되는 것 같습니다만 설정은 그대로에 nzxt cam을 사용해야겠습니다.
NZXT는 필수로 써야겠네요. 다만 컴퓨터 최초에만 켜고 지우지는 않고 사용안하면 될 것 같습니다.
지우지 않고 초기화 해봐야겠습니다.
아무래도 크라켄 사용 시 바이오스에서 조절 되는게 아니면 필수로 깔아야 할 프로그램 같습니다.
아에 쿨링 차이가 심하네요. 온도가 확 잡혔습니다.
그냥 자동으로 될거라는 멍청한 생각을 했네요.
일단 특별한 방법이 없는 한 nzxt든 리퀴드는 fanctrl 등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똑같이 초기화 해본 결과 깔려있어도 초기화되면 다시 실행줘야합니다.
실행 직후
다만 버그가 있었는데요. LED를 끄고 초기화 후 깔려 있던 NZXT CAM을 켜면 로고에만 불이 들어옵니다.
아에 꺼진 상태가 아니네요. 아직도 버그가 많은 것 같습니다.
시작프로그램으로는 안쓰고싶은데 시작프로그램으로 쓰고 켜지면 바로 꺼야겠습니다.
EXTREME TUNER 처럼 부팅 시 켜졌다가 꺼지면 좋을 것 같은데 그게 없네요.
아에 프로그램 자체가 없이 바이오스 설정이 됐으면 좋았을텐데 계속 알아봐야 겠습니다.
이건 체크해제 해주세요.
다음 컴퓨터는 좀 신중하게 다 알아봐야겠어요.
22/09/09
새로운 안정화 세팅
전압을 완전 내려서 안정화봤습니다.
여기에 있는 CPU Voltage는 입력해줘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같은 값 넣어줬습니다. fixed mode : 1.2V
asrock 바이오스 버전에 따른 버그인지는 모르겠는데 ccd0, ccd1과 ccx0과 ccx1의 값이 적용이 안되고 가장 아래배수에 다같이 고정되는 것 같습니다.
45배수 1.25V LLC1
쿨링이 너무 안되는 것 같아서 써멀을 다른걸로 교체해볼 생각입니다.
바른지는 얼마 안됐고 써멀라이트 KPx도 좋은건데 제가 아무래도 이상하게 바른 것 같습니다.
CPU 전압을 fixed mode로 수동을 주면 LLC는 오토로 해도 LLC Level 1로 잡히네요.
그리고 램을 그대로에 2T로 변경 레이턴시 54ms
램오버가 불안정한거 같기도해서 테스트 중입니다.
다음 컴퓨터는 인텔에 튜닝램 조여진거로 구매해서 아무것도 건들지 않는걸로 해야겠네요..
암드만 두세대를 썼어요.
마지막으로 다음 세팅부터는 다른 포스트에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