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램 오버 정리

바이오스
램오버값 정리

7800 CL34 정리

특정 문제로 인해 변경값 (tistory.com)

 

특정 문제로 인해 변경값

Z790 Aorus Pro X 최신 바이오스 Z790 Aorus Pro X 새로운 버전이 갱신됐습니다. Checksum 업데이트 외 이전과 설명내역은 같습니다. 1. Checksum : A257 2. GNA 옵션 추가 - 기본값이 비활성화 3. SPD Write Disabled 옵션

cofgame.tistory.com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바이오스

금일 기준 가장 최신 버전 F4 - BD4A

바이오스
24-02-07 기준 최신 바이오스

해당 버전에서 불안정한 경우 F3으로 해보고 그래도 불안정하면 향후 바이오스를 기다려보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램 오버 설정

클럭 7800 MHz

7800 cl34
클럭

램 타이밍 : 34 - 48 - 48 - 96

램타
1차 램타


램 전압 설정

SA Voltage 1.2 V

SA 전압
SA 전압

이전 글에서 1.25V를 줘봤는데 오히려 더 올라가면 불안정해집니다.

 

SA Voltage도 한계 수율에서는 적정값이 중요하다보니 잘 찾아야할 것 같습니다.


VDDQ CPU : 1.35 V

VDD2 CPU : 1.35 V

 

VDDQ CPU
CPU VDDQ와 VDD2


DRAM Volatge : 1.55 V

DRAM
DRAM 전압

DRAM VDDQ Voltage : 1.35 V

DRAM VDDQ
DRAM VDDQ 전압


기타 바이오스 설정

언급하지 않은 바이오스는 모두 기본값입니다.


CPU

CPU
CPU 세부설정
시피유 가상화 기능
가상화 관련 기능 끄기

Intel (VMX) Virtualization Technology

Enabled(기본값) -> Disabled

가상화 기능 사용하시는 분들은 건들지 마세요 !

인텔 다이나믹 튜닝 기술
APO 사용 시 켜기

Intel(R) Dynamic Tuning Technology

Disabled(기본값) -> Enabled

APO 사용 시에만 켜는 것으로 그게 아니라면 끄세요.끈게 기본값입니다.


램(메모리)

Auto Booster
DDR5 Auto Booster

DDR5 Auto Booster : Auto

건들지 않는게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오토라고 해서 켜지는게 아닙니다.

Auto로 사용하세요.

High Bandwidth
High Bandwidth 기능

High Bandwidth : Auto

켤 수 있으면 좋지만 불안정해져서 끈겁니다.

안정화 되시는 분들은 켜시기 바랍니다.

다른 값들을 풀거나 전압 설정으로 이것까지 Enabled로 설정해볼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시간이 꽤나 걸릴 것으로 보여서 Auto로 사용합니다.

켠다고 성능이 크게 증가하는 옵션은 아닙니다.

Low Latency
핵심

Low Latency : Auto(기본값) -> Enabled

이게 한번 켜는 것만으로 체감될 수준으로 좋아진다기보다 램 레이턴시가 확 줄어듭니다.

이건 켜도 안정화가 잘 됐습니다.

불안정하다면 오토로 놔주세요. 다만 오토로 놓을 경우 램 레이턴시가 켠거보다는 늘어지지만

괜찮습니다.

이 방법은 내가 직접 조이지않고 편하게 Enabled로 레이턴시를 줄이고 안정화보는 방법이다보니 핵심입니다. 

메모리 설정
메모리 설정
Fast Boot
꼭 끄세요.

Fast Boot나 Boot Mode 옵션은 그냥 끄는게 문제가 안생깁니다.

 

MSI 보드에서도 비슷한 부분이 있었는데 저는 항상 끕니다.


기타

기타
기가바이트 관련 유틸리티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끄세요.

이게 켜져있으면 서비스에 항목이 하나 추가됩니다.

관련 유틸리티 사용이 아니라면 끄는게 도움됩니다.

이게 켜져있으면

msconfig
이게 생기고 켜져있음

꺼도 다시 켜집니다. 그냥 바이오스 상에서 꺼주면 사라집니다.

기가바이트 업데이트 서비스
서비스
기가바이트 업데이트 서비스
서비스 자세히 보기

기가바이트 유틸리티를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끄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7800 CL 34가 불안정하다면

세팅
불안정하다면 그냥 오토로두고 안정화를 봐야합니다.

이 부분을 그냥 오토로 쓰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세팅2
이것도 역시 오토로 변경해서 안정화보세요.

 

물론 다시 안정화를 봐야 합니다. 

 

다만 안정화가 쉬워질 겁니다.

 

편하게 안정화되는 만큼 성능이 Low Latency를 Enabled로 했을 때보다 떨어지지만

 

그렇게 상관없으니 안정화가 안되는 분들은 한번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7200 CL34 XMP를 사용할 경우

7200 cl34
둘 다 켜기

 

7200 cl34
오토로 놔도 무방

 

7200 cl34
오토로 놔둬도 됨
7200 cl34
전압만 변경해주면훨씬 안정적입니다.
DRAM VDDQ
오토 고정

이 값은 7200 cl34 XMP 값에 High Bandwidth와 Low Latency를 Enabled로 변경한 값입니다.

 

추가적으로 할 이야기는 기존에는 전압은 오토값으로 주었고

 

안정화는 물론 됐지만 혹시나 불안정하신 분들은 1.4V 이상으로 주시기 바랍니다.

 

1.4V에서도 안정화도 되고 오류가 안뜨는데 실사 시에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좀 사용해봤는데 특정 상황에 불안정할 때가 있었습니다.

 

1.4 V ~ 1.5 V 까지만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래 글에서는 끄라고 했지만

 

DDR5 Auto Booster는 Auto로 놔도 이상없으니 그냥 오토로 쓰시기 바랍니다.

7200 cl34
오토 고정

XMP 최적화 & 안정화 (tistory.com)

 

XMP 최적화 & 안정화

7200Mhz CL34 - 42 - 42 - 84 1.4V 해당 램에 XMP 상태에서 기가바이트의 High Bandwidth 와 Low Latency를 Enabled로 변경하면 성능이 올라간다는건 다들 아시겠지만 이 글의 목적은 전압 변경 없이 안정화가 될까

cofgame.tistory.com


전체적으로는 이게 마지막 정리인것 같습니다.

 

지금에 만족해서 사용할 것 같은데

 

그냥 혹시나 하는 불안정함도 불안하다면 그냥 8레이어 보드에서는 7200이 가장 안정적이고

 

7200 xmp램의 xmp를 사용하는게 가장 편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7800까지 올리면 성능업이 있겠지만 그렇게 드라마틱한 성능업은 아닙니다.

 

나중에 바이오스 업데이트 후에 생각나면 다른 시도도 해보거나 여러가지 하게되면 또 포스팅하겠습니다.

 

이 글은 현재 사용 중인 최종적인 값 및 정리입니다. 


감사합니다.